밀회 (2014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회》는 성공을 위해 노력하는 예술재단 기획실장 오혜원과 천재 피아니스트 이선재의 음악적 교감과 사랑을 그린 2014년 멜로 드라마이다. 김희애, 유아인, 박혁권 등이 출연했으며, 안판석이 연출하고 정성주가 극본을 맡았다. 2014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연출상과 극본상을 수상했으며, 서울 드라마 어워즈, 에이판 스타 어워즈 등에서도 여러 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난을 소재로 한 작품 - 비밀의 집
《비밀의 집》은 흙수저 변호사가 어머니의 실종을 추적하며 거대 권력에 맞서는 복수극으로, 사회 정의와 약자 보호를 다룬 MBC 일일 드라마이다. - 가난을 소재로 한 작품 - 한강수타령
한강수타령은 생선 장사를 하는 김영희 여사와 딸들의 이야기를 다룬 2004년 MBC 주말 연속극으로, 고두심, 김혜수 등이 출연했고 고두심이 MBC 연기대상을 수상했으며, 51부작으로 종영되었다. - 정성주 시나리오 작품 - 애정만세
애정만세는 정인숙 피살사건을 드라마화하여 방영 전부터 화제가 되었으나, 작가 교체, 시청률 부진, 비윤리적 내용 지적 등의 어려움을 겪은 드라마이다. - 정성주 시나리오 작품 - 신데렐라 (드라마)
1997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신데렐라는 황신혜, 이승연, 김승우, 이영하, 김찬우 등이 출연하여 두 자매가 한 남자를 두고 갈등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평균 시청률 35.7%를 기록했지만 표절 논란과 잦은 편성 변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피아노와 피아노 연주자를 소재로 한 작품 - 노다메 칸타빌레
니노미야 도모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는 지휘자를 꿈꾸는 엘리트 음대생 치아키 신이치와 엉뚱한 천재 피아니스트 노다 메구미의 만남과 성장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다양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유쾌한 코미디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전개되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 피아노와 피아노 연주자를 소재로 한 작품 - 피아노의 숲
이시키 마코토의 만화 《피아노의 숲》은 숲에서 피아노를 치는 천재 소년 이치노세 카이가 아마미야 슈헤이, 아지노 소스케를 만나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 도전하며 성장하는 이야기로, 교육열, 계층 갈등, 예술가의 고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밀회 (2014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밀회 |
로마자 표기 | Milhoe |
장르 | 로맨스 멜로 드라마 |
제작 | |
극본 | 정성주 |
연출 | 안판석 |
음악 | 이남연 |
책임 프로듀서 | 박준서 이동익 배익현 조준형 |
프로듀서 | 김의석 |
편집 | 조은경 |
촬영 | 강승기 |
제작사 | Future One Drama House |
방송 | |
방송 채널 | JTBC |
방송 기간 | 2014년 3월 17일 ~ 2014년 5월 13일 |
방송 횟수 | 16부작 |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0분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출연 | |
주연 | 김희애 유아인 |
조연 | 박혁권 외 |
주제곡 | |
여는 곡 | Opening Credits |
닫는 곡 | End Credits - 〈Waltz Finale〉 (1, 3~7, 9~10, 12~15회) 〈베토벤 열정 소나타 3악장〉 (2회) 〈Warmhearted〉 (8회) 〈Devotion〉 (11, 16회) 〈리스트 스페인 광시곡〉 (14회) |
관련 정보 |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밀회 홈페이지 |
2. 줄거리
성공을 위해 앞만 보고 달리던 예술재단 기획실장 오혜원(김희애)과 천재 피아니스트 이선재(유아인)의 음악적 교감과 처절한 사랑을 그린 뮤지컬 멜로 드라마이다.[11]
40세의 오혜원(김희애)은 서한 예술 재단의 기획 실장으로, 성공을 위해 노력하며 우아하고 세련된 삶을 살고 있다. 그러던 중,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자신의 재능을 알지 못하고 퀵 배달부로 일하는 20세의 천재 피아니스트 이선재(유아인)를 만나게 된다. 혜원은 처음으로 진정한 사랑을 경험하고, 선재와 비밀스럽고 열정적인 관계를 시작한다.
3. 등장 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서한예술재단
김용건이 연기한 서필원은 서한그룹의 회장이자 서한예술재단의 설립자이다. 심혜진이 연기한 한성숙은 서필원의 두 번째 부인이자 재단 이사장이다. 김혜은이 연기한 서영우는 서필원의 딸이자 서울 예술 센터 사장이다.
3. 3. 이선재 주변 인물
3. 4. 서한음대
김창완은 민용기 역을 맡았다.[8] 박종훈은 조인서 역을,[8] 신지호는 지민우 역을, 진보라는 정유라 역을, 양민영은 김인주 역을 맡았다.[8]
3. 5. 그 외 인물
3. 6. 특별 출연
장현성은 김인겸 역으로 10회부터 16회까지 출연했다. 인천시립교향악단은 10회에 출연했다.
4. 제작진
안판석이 연출을 맡고 정성주가 극본을 썼다. 책임프로듀서는 박준서이며, 이동익, 배익현, 조준형이 제작을, 김의석이 프로듀서를, 강승기가 촬영을, 유철이 조명을, 이철호가 미술을, 이남연이 음악을, 조은경이 편집을, 김상호, 김보경, 이은창(3회~16회)이 조연출을 맡았다.
5. 음악